전체 글 720

이스라엘 왕들의 연대표 - 라이프성경사전

주변의 성경을 처음 읽는분들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구약성경을 읽다보면 어렵고 이해하기가 힘들다는 얘기를 듣게된다.그 원인이  주로 시대에대한 이해와 도량형등의 이해 부족에서 오는경우가 많습니다.대부분의 나라의 역사들을 보면 왕조 중심의 역사이기에 왕조의 순서와 도량형등에 관한 알아두게되면 좀더 이해가 쉬울거라 생각되어 왕들의 연대표와 각종 도량형들에관한 자료를 포스팅 해봅니다.작은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합니다. 사사 시대를 지내오면서 많은 외침(外侵)을 받았던 이스라엘 백성은 자신들의 영적, 신앙적 문제로부터 위기가 기인한다고 생각하지 않고, 단지 주변 열국들처럼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한 왕권 체제 곧 인간 왕이 통치하는 중앙 집권적 연합체 형태를 취하지 않았기 때문에 매번 위기 상황을 맞게 되고 또..

여호사밧[ Jehoshaphat ] - 라이프성경사전

​‘여호와께서 심판하신다’는 뜻.​1. 남왕국 유다의 제4대 왕(B.C. 872-847년). 아사 왕과 아수바 사이에서 태어났고, 35세에 왕위에 올라 25년 간 통치했다. 불의한 왕 아합이나 아하시야와의 연합 같은 실수도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여호와가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며 그분을 경외함으로써(왕상 22:4; 대하 19:9) 히스기야, 요시아와 함께 유다의 3대 선왕(善王)으로 인정되고 있다.​여호사밧은 왕위에 오르자 우상과 산당을 파괴하고, 백성에게 율법을 가르치며 오직 하나님만을 의지하게 하고, 사회 정의를 구현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대하 17:6-9; 18:4-6; 19:2-11; 20:3-32). 이로 인해 하나님이 복을 주셔서 나라가 견고해졌다(대하 17:10-19). 이 같은 강성함을 지속..

히스기야[ Hezekiah ] - 라이프성경사전

​ ‘여호와는 강하시다’는 뜻. 남유다의 제13대 왕(B.C. 728-687년)으로, 북이스라엘의 패망과 앗수르의 남하 정책에 맞서야 하는 위기 정국을 신앙으로 헤쳐 나간 3대 현군(여호사밧, 요시야 등) 중 한 사람이다(왕하 18-20장; 대하 29-32장; 사 36-39장). 초기 13년 동안 부친 아하스와 함께 통치하다가 부친의 무능력으로 실권을 장악한 뒤 부친이 폐쇄하고 더럽혔던 성전을 깨끗이 정화하고 성전 문을 다시 열고 여호와 예배를 회복시켰다. 이사야, 미가 선지자와 함께 백성의 영적 각성 운동을 벌이는 등 구약 시대 가장 신실한 통치자 가운데 하나로 인정되고 있다.​히스기야 재위 6년에 북왕국 이스라엘은 곤경에 처해 있었다. 앗수르 왕 살만에셀 5세가 드디어 사마리아를 포위 공격하였고, 사..